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가치투자 기업분석 방법(원론적인 분석 기준)

by 뚱2님 2023. 10. 7.
반응형

 

1) 회사 개요 및 비즈니스 모델

 

- 짧은 연혁

 

- 주요 상품 및 매출 구성 비중

 

- 주력 상품이 포함된 산업 내용 (국내외 시장 규모, 동사 점유율 추이 등)

 

 

2) 과거 및 최근 실적과 주가 흐름

 

- 과거 평균보다 좋았던/부진했던 분기/년 실적 이유. Eg. 일회성 이슈인지 아니면 구조적인 변화의 시작이었는지

 

- 최근 분기 실적 흐름. 전년동기대비, 전분기대비 어떤지와 그 이유

 

 

3) 투자포인트 (경쟁력, 미래 성장성, 경영진, 안전마진 관점 중심)

 

왜 지금 주가에서 투자매력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향후 3년 기준.

 

경쟁력 (경제적 해자)

 

- 전환비용, 무형자산, 네트워크효과, 원가우위

 

- 영업이익률 또는 순이익률이 과거 또는 경쟁사 대비 높게 유지되는지? 향후 개선 여지가 있는지?

 

 

​■ 성장성

 

- 기업이 얼마나 빨리 성장해 왔으며 성장의 원천은 무엇인지?

 

*성장원천 전체 시장 성장, 판매 증가, 가격 인상, 사업영역 확대, 신제품 출시, 신규 고객 segment, 기업인수

 

- 성장이 얼마나 지속될 것인가?

 

- 회사에서 보는 전방산업, 후방산업 전망

 

 

경영진

 

- 최근 주요 경영진을 포함한 대주주가 주식을 매수/매도했는지?

 

- 과거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변동 사항

 

- 공식적인 ROE 및 배당 정책이 존재하는지? 최근 3년간 배당 흐름은 어떤지?

 

 

밸류에이션 (안전마진)

 

- 최근 주가 흐름.

 

- 과거 평균 밸류에이션 대비 현재 밸류에이션 위치는? 섹터 또는 해외 경쟁사 밸류에이션 대비 할인/할증 되어 거래되는지?

 

 

기타 투자포인트

 

- 투자사이클이 마무리되어 실적 개선

 

- 일회성적인 국내외 기관투자자 매도 수급 마무리

 

- 대주주 지분 변화 또는 지배구조 이슈 등

 

 

4) 리스크 요인

 

- 향후 실적과 주가가 내 예상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요인은?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