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부동산 스터디 첫번째 세금 양도세

by 뚱2님 2023. 3. 26.
반응형

3. 양도세

 

 

 - 양도소득세의 정의

 

 - 분리과세란?

 

 - 중과세, 일반과세, 비과세의 차이(소득세 세율구간 확인필요)

 

 - 1세대 1주택의 비과세 요건

 

 - 보유기간에 따른 지역별 비과세 판단 기준(취득시점 또는 양도시점)

 

 - 양도세 2년 보유 기준

 

 - 일시적 1가구 2주택의 양도세 알아보기

 

   사례 1) 1주택 에서 이사를 하기위한 다른 주택의 구매 경우

 

   사례 2) 상속에 의한 2주택의 경우 

 

  사례 3) 혼인으로 인한 2주택의 경우

 

  사례 4) 취학, 전근 등의 사유로 인한 2주택의 경우

 

 - 보유 중 매매계약 진행중 조정지역의 경우에서 비조정지역 또는 비조정지역의 경우에서 조정지역으로 각각 변경되는 경우에 대한 양도세 적용 

 

 - 상가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

 

 - 입주권의 비과세 요건

 

 - 다주택 기본세율 적용 특례사항(2주택의 경우 또는 3주택 이상의 경우)

 

 - 양도소득세 계산하기

 

 - 양도소득세 계산절차 정리

 

 - 취득가액 인정항목(예상 매도금액에 따른 효율적인 비용처리방법 확인)

 

 - 필요경비 인정항목(예상 매도금액에 따른 효율적인 비용처리방법 확인)

 

 -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 정리하기

  

   * 양도세 과세기간 중 합산과세 알아보기

 

 - 장기보유특별공제 공제율 알아보기

 

 - 양도세 계산 시 주택수에 포함되는 항목 알아보기(입주권, 분양권)

 

 -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율 알아보기

 

 - 2년 미만 보유주택 매도시 세율 알아보기(기간별 확인 필요)

 

 - 분양권 매도시 세율 알아보기(기간별 확인 필요)

 

 - 현행법상 가능한 최대 양도소득세율 알아보기(최근 세율 정책 확인 필요)

 

 - 임대사업자의 양도세 알아보기(매매사업자, 임대사업자 / 건설임대사업자)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