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노동부 직장내 괴롭힘 진정제기 처리 기간 연장 이유 및 처벌 판례

by 뚱2님 2024. 5. 23.
반응형

노동부에 괴롭힘 진정제기 했는데 처리간이 연장 됐습니다. 퇴사하고 노동부에 증거랑 같이 진정제기 했는데 회사에서 노무사 선임 했습니다. 저는 조사받았고 이제 참고인 피진정인 조사하면 끝나는 일인데 노동부에서 메일이 왔는데 시정지도중으로 처리기한이 한 달 반정도 연기 됐습니다 왜 이런 거죠? 노무사는 신속하게 조사하던데요.

 

진정제기 처리 기간 연장 된 이유

  • 사건의 복잡성: 회사 측에서 노무사를 선임하여 대응하는 경우, 사건이 복잡해져 조사 범위가 넓어질 수 있습니다. 참고인이나 피진정인의 수가 많거나,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경우 조사에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 증거 확보의 어려움: 괴롭힘은 은밀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증거 확보가 어렵습니다. 노동부는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추가 조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관련 법규 검토: 직장 내 괴롭힘 관련 법규는 비교적 최근에 도입되어 해석에 이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노동부는 법 적용에 신중을 기하기 위해 관련 법규를 면밀히 검토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시정지도: 노동부는 괴롭힘 사건에 대해 처벌보다는 시정지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 회사 측에 자체적인 시정 조치를 요구하고,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 현실적인 조언

  •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기: 노동부 조사는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급해하지 마시고,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담당 근로감독관과 소통: 처리 기한 연장 사유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담당 근로감독관에게 문의하여 진행 상황을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추가 증거 제출: 조사 과정에서 추가적인 증거가 발견되면 즉시 노동부에 제출하여 조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법률 전문가의 도움: 괴롭힘 사건은 법적인 쟁점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노무사나 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직장 내 괴롭힘 처벌 가능성 및 판례

직장 내 괴롭힘 처벌 가능성 및 판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 처벌 가능성

 

직장 내 괴롭힘은 2019년 7월 16일부터 근로기준법에 금지 행위로 명시되었지만, 가해자에 대한 직접적인 처벌 규정은 없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처벌이 가능합니다.

 

1. 사용자(회사) 처벌

  • 과태료: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친족이 직장 내 괴롭힘 행위를 한 경우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근로기준법 제76조의 3 제1항).
  • 형사처벌: 사용자가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신고한 근로자나 피해 근로자에게 해고 등 불리한 처우를 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근로기준법 제76조의 3 제2항).

2. 가해자 처벌

  • 징계: 직장 내 괴롭힘은 징계 사유에 해당합니다. 회사는 취업규칙 등에 따라 가해자를 징계할 수 있습니다.
  • 손해배상: 피해 근로자는 민사 소송을 통해 가해자에게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형사처벌: 직장 내 괴롭힘 행위가 형법상 범죄(폭행, 모욕, 명예훼손 등)에 해당하는 경우 형사처벌 가능.

3. 직장 내 괴롭힘 관련 판례

 

직장 내 괴롭힘 관련 판례는 아직 많지 않지만, 몇 가지 주요 판례를 소개해 드립니다.

 

대법원 2021. 10. 14. 선고 2019다286005 판결:

  • 직장 내 괴롭힘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 ①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 ②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 ③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가 있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서울행정법원 2022. 9. 22. 선고 2021구합84404 판결

  • 직장 내 괴롭힘 신고 이후 사용자가 피해자에게 불리한 처우를 한 경우, 사용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23. 2. 15. 선고 2022가합500000 판결

  •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해 피해자가 정신적 고통을 입은 경우,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고 판결했습니다.

결론

 

직장 내 괴롭힘은 가해자에 대한 직접적인 처벌 규정은 없지만, 사용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 가해자 징계, 손해배상 청구, 형사처벌 등 다양한 방법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괴롭힘 사건은 증거 확보가 중요하므로, 녹취, 문자 메시지, 동료 진술 등 증거를 확보하고, 필요하다면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노동부-직장내-괴롭힘-진정제기-처리-기간-연장-이유-처벌-판례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