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공인노무사 응시자격에 대해 물어본다. 어떤 자격이 있어야 되는지 알아보니 공인노무사 시험 볼 수 있는 방법이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추가로 영어 점수 관련해서도 알아본다.
공인노무사 시험 응시 자격 2가지 방법
일반 응시자
1.1 학력 요건
- 대학 졸업 이상 학력
- 대학원 석사 또는 박사 학위 취득
- 전문대학 졸업 후 2년 이상의 실무 경력
- 고등학교 졸업 후 5년 이상의 실무 경력
1.2 실무 경력 요건
- 학력에 따른 실무 경력 요건
학력 | 실무경력 |
대학 졸업 이상 | 없음 |
대학원 석사 또는 박사 학위 취득 | 1년 이하 |
전문대학 졸업 | 2년 이상 |
고등학교 졸업 | 5년 이상 |
- 실무 경력 증빙 서류
- 재직증명서
- 근로계약서
- 사회보험료 납부 내역
- 사업자등록증
- 그 밖에 실무 경력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
1.3 그 밖에 고용노동부장관이 인정하는 자
- 노동 관련 학과 졸업자
- 국가기술자격시험 1급 또는 2급 이상 기술자격 취득자
-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자
- 노무관리사 자격증 취득자
- 그 밖에 고용노동부장관이 노무사 업무 수행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2. 특례 응시자
2.1 공인노무사 2차 시험 응시 횟수 요건
- 공인노무사 2차 시험에 4회 이상 응시하고 1차 시험 합격한 자
2.2 국가기술자격시험 1급 또는 2급 이상 기술자격 취득자
- 기계, 전기, 전자, 건축, 토목, 화학, 환경, 섬유, 식품, 산업안전 등 노동 관련 분야의 국가기술자격시험 1급 또는 2급 이상 기술자격 취득자
2.3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자
-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자
2.4 노무관리사 자격증 취득자
- 노무관리사 자격증 취득자
공인노무사 시험 응시 자격 영어 관련 정보
2024년 1월 1일 이후 시행되는 공인노무사 시험부터 1차 시험에서 영어 과목을 면제받으려면 다음과 같은 영어 성적을 제출해야 합니다.
1. 요구 영어 점수
- 토익: 700점 이상
- 토플(IBT): 71점 이상
- 텝스: 340점 이상
- G-TELP: 65점 (Level 2) 이상
- 플렉스: 625점 이상
- IELTS: 4.5점 이상 (PBT, IBT)
2. 영어 성적 제출 기간
- 시험 공고일부터 역산하여 5년 이내에 취득한 점수만 인정됩니다.
3. 영어 성적 제출 방법
- 1차 시험 신청 시 온라인 또는 서면으로 제출 가능합니다.
- 영어 성적표 원본 및 성적확인동의서(일본에서 토익 시험 응시 시) 제출해야 합니다.
4. 주의 사항
- 영어 성적을 제출하지 못하거나 요구 점수 미달 시 1차 시험 응시 자격이 제한됩니다.
- 1차 시험 응시 전에 요구 점수 이상의 영어 성적을 취득해야 합니다.
- 영어 점수는 시험 응시 자격 판정에만 사용되며, 시험 과목 평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영어 성적 관련 규정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는 반드시 관련 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5. 추가 정보
공인노무사 시험: https://www.q-net.or.kr/
Q-Net 자격의 모든 것
www.q-net.or.kr
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www.moel.go.kr
공인노무사 평균적인 연봉
공인노무사의 평균 연봉은 경력, 근무 분야, 직급, 회사 규모, 지역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확한 평균 연봉을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참고를 위해 각 요인별 평균 연봉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1. 경력별 평균 연봉
- 신입: 3천만원 ~ 4천만 원
- 3년 차: 4천만 원 ~ 5천만 원
- 5년 차: 5천만 원 ~ 6천만 원
- 10년 차: 6천만 원 ~ 7천만 원
- 15년 차 이상: 7천만 원 ~ 1억 원 이상
2. 근무 분야별 평균 연봉
- 노무사 사무실: 4천만원 ~ 5천만 원
- 기업: 5천만원 ~ 7천만 원
- 공공기관: 5천만원 ~ 6천만 원
- 대학교: 4천만원 ~ 5천만 원
- 연구기관: 4천만원 ~ 5천만 원
3. 직급별 평균 연봉
- 주임: 4천만원 ~ 5천만 원
- 대리: 5천만원 ~ 6천만 원
- 과장: 6천만원 ~ 7천만 원
- 부장: 7천만원 ~ 8천만 원
- 이사: 8천만원 ~ 1억 원 이상
4. 회사 규모별 평균 연봉
- 중소기업: 4천만원 ~ 5천만 원
- 중견기업: 5천만원 ~ 7천만 원
- 대기업: 7천만원 ~ 1억 원 이상
5. 지역별 평균 연봉
- 수도권: 5천만원 ~ 7천만 원
- 지방: 4천만원 ~ 5천만 원
6. 기타 고려 사항
- 전문 분야 보유: 특정 분야 전문성을 보유하면 더 높은 연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외국어 능력: 영어 또는 다른 외국어 능력은 연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경영 참여: 경영에 참여하거나 파트너로 활동하면 연봉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7. 참고 자료
한국공인노무사회: https://www.klac.or.kr/
대한법률구조공단
효율적인 법률구조로 국민의 기본적 인권 옹호, 법률복지 증진
www.klac.or.kr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회비용 암묵적비용 명시적비용 매몰비용 쉽게 이해하기 (0) | 2024.03.16 |
---|---|
강아지 백내장 원인 증상 수술 과정 치료 비용 (0) | 2024.03.16 |
메마시바 블랙탄 시바견 분양 가격 혈통서 적정 비용 (0) | 2024.03.15 |
강아지 뇌수두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후 및 비용 (0) | 2024.03.15 |
임차권등기 경정신청 후 결정경정정본 발송 후 등기부등본 (0) | 2024.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