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기준금리 현황과 4월 발표
· 한국 기준금리 현재 3.5%
· 5일 뒤, 4/11 금통위서 금리 발표
· 물가상승 여전히 높지만 예상치엔 부합
한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3.5%입니다, 그리고 5일 뒤 발표 될 예정인 기준금리 발표에 대해 동결이냐 or 25bp 인상이냐로 의견이 갈리고 있습니다.
현재 '동결'이 약 8:2정도로 우세한 상황으로 이미 긴축의 영역에 있고, 물가상승률도 한은 예상치에 부합하고, 달러 약세도 뚜렷해 동결 쪽을 바라보는 시선이 많습니다.
저 또한 동결에 한표를 주고 싶구요. 물가가 다 잡히진 않았지만 4월엔 미국 금리변동도 없어서 무리해서 금리를 올릴 선택을 하지 않을 것 같군요. ( 솔직히 저는 한 번 더 올려야 된다고 봅니다... )
다만, 또 하나의 이슈는 뉴질랜드가 얼마 전 50bp 인상을 단행한 것과 OPEC+의 감산으로 인한 유가상승이 있겠네요. 만약 인상한다면 이 이슈가 작용한 것일지도...?
![](https://blog.kakaocdn.net/dn/ci8Ynq/btr88rBMhfC/WHyCzYUOxeai9yjgHkILwK/img.png)
🇺🇸 미국 현황과 미국과의 차이는?
· 미국 기준금리 : 5.0%
· 미국과 한국의 차이 : 1.5%
미국과의 금리차이는 점점 벌어져서 현재 사상최대 수준인 1.5%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예년에 비해 꽤 많이 벌어진 상태임에도 불구 하고 생각보다 뭔가 큰 크래쉬는 없는 상황.
❓금리차가 미치는 영향은
· 외화자본 유출 우려
· 이로 인한 환율 상승 우려
한국과 미국 중에서 미국 금리가 더 높으면 한국에 투자하실래요, 미국에 투자하실래요. 한국인인 저라도 미국에 투자합니다.
그래서 미국 금리가 더 높으면 미국으로 자본이 유출 되 자금도 유출 되고, 환율도 오르는데 금리차 치고는 생각보다 양호한 상황이긴 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하마스는 이스라엘을 대규모로 공격했을까? 왜 하필 지금 시기에? (0) | 2023.10.08 |
---|---|
연도별로 알아보는 미국의 역대 셧다운 정리 (0) | 2023.10.01 |
2008년 금융위기 타임라인 (0) | 2023.03.25 |
도이치뱅크 주가 급락, 옐런 재무장관 긴급소집 금융위기 확산 가능성 (1) | 2023.03.25 |
SVB 파산 사태 총정리 (0) | 2023.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