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국민연금 차감 기준 감액 비율 소득공제 제한금액

by 뚱2님 2024. 3. 15.
반응형

국민연금 차감에 대해 사례를 통해 쉽게 알아본다. 63세부터 수령 예정 중인 수급자가 있습니다. 아내는 전업주부로 근로를 한 적이 없습니다.

 

국민연금 수급 중 수급자 본인과 아내가 근로를 할 경우 둘의 소득을 합쳐 국민연금이 차감되는 것인지 아니면 수급자 본인의 소득만 연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국민 연금 차감 기준

1. 국민연금 차감 대상

  • 65세 이하 노령연금 수급자
  • 연 소득이 전년도 전체 가입자 평균 소득 월액(A값)의 70% 이상인 경우
  • 소득이 초과된 금액에 따라 연금 지급액의 일부 감액

2. 소득 합산

  • 노령연금 수급자의 소득과 배우자의 소득은 합산하지 않습니다.
  • 따라서, 아내분의 소득은 국민연금 차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수급자 본인의 소득만 연금 차감 여부와 감액 금액에 영향을 미칩니다.

3. 2024년 기준 A값 및 감액 비율

  • A값: 월 2,989,237원
  • 초과 소득 금액별 감액 비율
    • 월 100만 원 미만: 5%
    • 월 100만 원 이상 200만 원 미만: 10%
    • 월 200만 원 이상 300만 원 미만: 15%
    • 월 300만 원 이상 400만 원 미만: 20%
    • 월 400만 원 이상: 25%

4. 참고 사항

  • 2024년 기준, 65세 이하 노령연금 수급자의 경우 연 소득이 월 2,092만 466원 이상이면 연금이 일부 감액됩니다.
  • 아내분의 소득은 연금 차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의료보험료 산정에는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정보 확인을 위해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연금 차감 관련 추가 정보

1. 소득 구분

  • 근로소득: 임금, 사업소득, 퇴직소득 등
  • 재산소득: 부동산 소득, 금융소득, 양도소득 등
  • 기타 소득: 연금, 보험금,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받는 일시금 등

2. 소득 계산

  • 연 소득: 전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총소득
  • 소득공제: 소득세법 및 국민연금법에 따라 공제 가능한 금액
  • 연금 차감 기준 소득: 연 소득에서 소득공제를 제한 금액

3. 2024년 기준 소득공제 및 제한 금액

  • 소득공제
    • 근로소득공제: 급여소득자 2,500만 원, 사업소득자 3,000만 원
    • 기초연금공제: 소득 1,200만 원 이하 120만 원, 소득 1,200만 원 초과 1,200만 원에서 소득 3,600만 원까지 소득의 10% 감소
    • 연금소득공제: 연금소득 1,200만 원
    • 장애인공제: 장애인 본인 및 배우자, 직계존비속 1인당 240만 원
    • 부양가족공제: 부양가족 1인당 60만 원
  • 제한 금액
    • 근로소득공제: 8,000만 원
    • 기초연금공제: 2,000만 원
    • 연금소득공제: 4,000만 원
    • 장애인공제: 4,000만 원
    • 부양가족공제: 2,400만 원

4. 연금 차감 예시

연 소득 3,000만 원, 소득공제 1,000만 원, 제한 금액 2,000만 원인 경우

  • 연금 차감 기준 소득: 3,000만 원 - 1,000만 원 - 2,000만 원 = 1,000만 원
  • 연금 차감 금액: 1,000만 원 x 5% = 50만 원

5. 기타 고려 사항

  • 연금 차감은 매년 1월에 조정됩니다.
  • 연금 수령자가 해외에 거주하는 경우, 해외 소득도 연금 차감 기준 소득에 포함됩니다.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콜센터 ( 1355)를 통해 개인별 상담 가능

 

국민연금공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국민연금-차감-기준

728x90

댓글